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4년과 2025년 세월호 참사 11주기 (멈춘 시간, 변화, 기억)

by turing-11 2025. 4. 16.
반응형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그날을 기억하시나요? 그날 이후로 우리 사회는 많이 변한 듯하면서도, 어딘가는 여전히 멈춰 있는 것 같습니다. 세월호 참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상처이자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입니다. 2025년,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우리는 다시 그날을 돌아보고, 무엇이 변했고, 또 무엇이 변하지 않았는지 솔직히 마주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월호참사 11주기

세월호 참사 11주기, '가만히 있으라'에 멈춘 시간들

2014년 4월 16일, 저는 아침 뉴스를 보다가 텔레비전 화면 앞에서 얼어붙었습니다. “세월호 여객선 침몰… 단원고 학생 300여 명 탑승.” 그 한 줄 자막이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처음엔 설마 했죠. 구조되겠지, 다 구할 수 있을 거야.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왜 안 구하지?’라는 의문이 분노로 바뀌었습니다.

세월호는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했고, 탑승자 476명 중 304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습니다. 특히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 대부분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이 울었습니다. 그런데 그 참사는 단순히 선박의 결함이나 조타수의 실수로만 설명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당시 방송에서는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가 반복됐고, 아이들은 그대로 남아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아이들을 지키려다 희생되기도 했죠.

정부는 허둥대기만 했습니다. 구조는 늦었고, 정보는 엉터리였어요. 누가 지휘하는지, 누가 책임지는지 아무도 몰랐습니다. 저는 그때 뉴스를 보면서 계속 의심이 들었습니다. 이게 정말 최선인가? 정말 우리가 선진국을 말할 자격이 있나?

이 참사를 계기로 우리 사회가 배워야 할 건 단 하나, "사람이 먼저다"는 말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겁니다.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시스템으로, 법으로, 문화로 바꿔야 한다는 거죠. 그리고 그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세월호 참사 11주기, 우리는 정말 변화했을까?

11년이 지났습니다. 참사 직후 세월호 특별법이 제정됐고, 두 차례에 걸쳐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했죠. 2017년엔 세월호 선체가 인양됐고, 일부 미수습자 유해도 수습됐습니다. 겉보기엔 많은 변화가 있었어요. 법도 바뀌고, 안전교육도 확대됐고, 재난 대응 체계도 손질됐죠.

그런데요, 정말 달라졌다고 느껴지시나요? 저는 솔직히 반반입니다. 학교나 공공기관에 가면, 재난 시 대피 요령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고, 경각심도 높아졌어요. 하지만 또 다른 사고가 터질 때마다 느끼는 건, "아직 멀었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이태원 참사 때도 비슷했어요. 구조의 골든타임이 지나고 나서야 대응이 이뤄졌고,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았죠. 이럴 거면 세월호 이후의 모든 변화가 무슨 의미였나 싶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변화를 부정하진 않겠습니다. 적어도 ‘이제는 그냥 넘기면 안 된다’는 사회 분위기는 분명히 생겼으니까요. 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분노하고,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이건 분명 큰 진전이에요.

결국 문제는 구조나 제도뿐 아니라, 그것을 실행하고 감시하는 우리의 태도 아닐까요?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은 끝나지 않았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언제까지 그 얘기만 할 거냐”라고. 하지만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참사는 끝났을지 몰라도, 기억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2025년 지금, 우리는 여전히 기억해야 하고, 그 기억을 사회 전체가 함께 안아야 합니다.

저도 솔직히 처음엔 세월호와 관련된 뉴스를 마주하는 게 힘들었습니다. 너무 고통스러웠거든요. 근데요, 어느 순간 이렇게 생각이 바뀌었어요. 이 고통은, 우리가 함께 나눠야 할 무게라고. 그냥 지나쳐 버리면, 또 누군가는 같은 고통을 겪을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기억은 단지 ‘그날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출발점’입니다. 학교에서, 가정에서, 직장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분명히 있어요. 말 한마디, 행동 하나, 태도의 변화. 이 글을 읽는 분들도 아마 어떤 생각이 드셨을 거예요. 그 생각을 조금만 더 이어가 봤으면 좋겠습니다.

세월호 참사 11주기, 아직 끝나지 않은 우리의 이야기
세월호 참사는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지금도 진행 중인 우리의 이야기이며, 우리가 변화를 만들어가야 할 과제입니다. 기억은 멈추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고통스러운 기억일지라도, 우리는 그 기억 위에 안전한 사회를 쌓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합시다. 너무 늦기 전에.

반응형